사업 목적

  • 부처간 협업을 통한 인재양성 사업
  • 미래형자동차, 차세대 바이오헬스,  반도체, 이차전지 총 4개 분야
  • 미래형

주요 사업 내용

     1. 대학별 특성화 기반 체계 구축

          반도체 분야에서 일반적인 교육을 넘어, 대학별 강점 분야를 중심으로 특성화 방향을 설정하고, 대학 간 역할을 분담하여 체계적인 교육 프로세스를 구축하였습니다.

     2. 심화 교육과정 개설 및 연계 운영

          대학별 특성화 분야를 중심으로 6학점 이상의 심화 교육과정을 필수로 개설하여, 심화전공, 학∙석사 연계 등의 과정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.

     3. 진학 및 취업 연계 관리

          단순히 인재 양성의 양적 규모뿐만 아니라, 반도체 분야로의 진출(진학, 취업)까지도 지속적으로 관리할 예정입니다.

     4. 중장기 인프라 및 자율운영 기반 마련

          중장기적으로 교육 인프라(교원, 교육시설, 장비) 구축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, 기업과의 협업을 확충하여 대학이 자율적으로 반도체 특성화 교육모델을 운영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습니다.

'24 부처협업형 인재양성 현황


 * 반도체 특성화대학 : 단독형 9개, 동반성장형 9개 사업단

구분 유형 지역 대학명 특성화분야 교육운영
‘23년 선정 단독형 수도권 서울대 회로·시스템, 소자·공정 주전공(신설) 및 융합전공
성균관대 차세대 반도체 주전공(신설) 및 융합전공
비수도권 경북대 회로·시스템, 소자·공정, 소재·부품·장비 주전공 및 융합전공
고려대(세종) 첨단반도체 공정장비 융합전공
부산대 차량 반도체(파워반도체) 주전공(신설) 및 융합전공
동반성장형 수도권 명지대-호서대 소재·부품·장비, 패키징 주전공 및 융합전공
비수도권 전북대-전남대 차세대 모빌리티반도체 융합전공
충북대-충남대-한국기술교육대 시스템 반도체, 파운드리반도체 융합전공

'24 반도체 특성화대학 현황


구분 유형 지역 대학명 특성화분야 교육운영
‘24년 선정 단독형 수도권 서강대 소자·공정개발, 회로·시스템 주전공(신설) 및 융합전공
가천대 소자·공정개발, 회로·시스템 주전공 및 융합전공
연세대 소자·공정개발, 회로·시스템 주전공(신설) 및 융합전공
단독형 비수도권 울산과기원 소재, 소자/공정, 패키징 융합전공
동반성장형 수도권 고려대-인제대 차세대 AI 반도체 융합전공
아주대-한밭대 회로·시스템, 소자·공정·패키징 융합전공
인하대-강원대 칩렛 반도체 융합전공(신설)
한국공학대-공주대 첨단반도체, 계측·분석·검사 주전공(신설) 및 융합전공
비수도권 금오공대-영남대 소재·부품·장비 융합전공
경상대-부경대 패키징·테스트 주전공(신설) 및 융합전공